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

교육의 세계에도-핀란드에서 학교 조수와 벤츠의 마중   1,840그램의 미숙아로 태어난 도미오 군. 그는 네 살이 되어서도 걸을 수 없었다. 조산하여 뇌성마비가 되었다.  혼자서는 침대에서 일어날 수 없다. 이런 도미오 군이 일반 초등학교에 다니고 있다. 학우들은 아주 자연스럽게 그의 휠체어를 밀어주고 그와 잘 어울린다. 같은 반 아이들은 그와 사귀면서 장애를 가진 이들과 어울리는 법을 자기도 모르게 몸에 익힌 것 같다.  도미오 군은 핀란드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10년 전에 헬싱키에서 태어났다.  "일본에서 기르지 않아 다행이었습니다." 라고 어머니들인 마치코 씨, 야마다 씨, 아루오 씨가 한목소리로 입을 맞추었다. 일본이라면 어버이가 모든 것을 희생하고, 아이의 손발이 된다치더라도 이만큼의 경험을 쌓는다는 것은 아.. 2025. 1. 18.
먼저, 지적 장애의 세계에서-스웨덴에서 그룹홈은 대가족의 단란함   "장애를 가진 이들에게도 가능한 한 '보통'의 생활상태를···" 이라고 하는, 덴마크에서 비롯된 노말리세르 사상은 이웃 나라인 스웨덴에 먼저 큰 영향을 주었다.  스웨덴은 1968년에 법을 개정하여 을 제정하였으며 제5조에서 노말리세르의 원리를 명확히 정의하고 있다.  시읍면동에서는 4,5명 단위의 '그룹홈'을 '보통의 생활'거점으로 해서 하나하나 계속 늘려 나갔다. 1965년에는 6명분이었던 것이 1986년에는 6,500명분이 되었으니 일본의 인구로 환산해 보면 9만 명분에 달하게 된다.  1988년 가을, 나는 스톡홀름의 브엔데루튜르 단지에 계신 하라 쇼지-기요가 내외분 댁에 며칠 폐를 끼친 적이 있다. 시의 중심지에서 차로 약 10분 정도 걸리는 곳이다. 정말로 보통의 .. 2025. 1. 18.
노멀라이제이션의 아버지(대담2) 무언가 석연찮다   '노멀라이제이션' 은 지금 일본의 고령자복지의 새로운 흐름을 나타내는 말과 같이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이 사상을 거슬러 올라가 보면 뱅크 씨가 사회부에서 근무할 때에 기초한 에 이르게 됩니다. 그 법률에는 "지적 장애를 가진 모든 이에게도 가능한 한 '노멀'한 생활을 창조한다" 는 사고방식이 크게 넘쳐흐르고 있습니다. 일찍부터 이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었습니까?   뱅크 : 1946년 사회부에 들어왔을 때 상사로부터 지적 장애인 복지시설 담당으로 임명되었습니다. 실은 전혀 흥미가 없었는데 곧 자리를 바꿔준다면서 설득하길래···(웃음). 결국 이것이 일생토록 종사하는 일이 되었으니 운명적인 만남이라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시설이었습니까?   뱅크 : 열 군데였습니다. 덴마크의 이런 .. 2025. 1. 18.
'보통으로'라는 사상 '노멀라이제이션' 이란 무엇일까?   '노멀라이제이션'이란 말과의 첫 만남은 1972년이었다. 의료제도를 취재하려고 스웨덴을 방문한 때였다. 역시 대단한 정보 개방의 나라였다. 다 받아 안을 수도 없을 만큼의 많은 자료를 넘겨주었다. 그 중에는 영어로 쓰인 이란 제목의 자료도 있었다. 바로 이 자료 안에 '노멀라이제이션'이라는 말이 여러 번 되풀이되고 있었다. 말하자면 이런 식이다.   지적 장애를 가진 어린이들을 위한 정책의 기본은 '노멀라이제이션'이다. '노멀라이제이션'은 이 어린이들의 장애를 무시하는 것이 아니다.   '노멀라이제이션(normalization)' 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정상화', '정규화', '표준화' 또는 '상태화' 라고 쓰여 있다. 그렇지만 이렇게 풀어 쓴 말들로도 어쩐지 그 뜻.. 2025. 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