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2 가정도우미가 아침·낮·밤에 나타난다!(비밀 2) 길거리에는 휠체어의 고령자가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는 어디를 찾아도 와상노인의 집단은 보이지 않는다. 그 대신 휠체어를 탄 고령자를 길거리에서, 식당에서, 상점가에서, 여기저기서 만나게 된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나는 곧 아가사 크리스티의 심경이 되어 어떻게든 이 비밀을 풀어 보고 싶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윽고 이 미숙한 탐정은 미로에 빠져 들었다. 고령자복지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직접 물어 봐도 신통한 답이 돌아오지 않았던 것이다. 상대는 '와상노인'이라는 것을 본 적이 없으니 무리도 아니었다. 일본의 상황을 아무리 설명해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았다. 어떻게 물어야 될지···. 여행의 끝이 가까워지던 무렵의 어느 날, 얼핏 생각이 들어 이렇게 물어 봤다. "누운 채로 자기 혼.. 2024. 10. 22. 기저귀를 차고서도 멋을 낼 수 있다(비밀 1) 이야기의 시작 만국 공통이 아니었던 '몸져누운 노인' 일찍이 고령사회에 들어선 국가에는 '몸져누운 노인' (이하, 와상노인) 에 대응하는 낱말이 없다. 일본에서는 침상에 누워 있어야 할 만한 사람들도 그곳에선 휠체어에 타거나, 보행기를 이용해 '걷고' 있었다. 위의 글은 1985년 경로의 날, 아시히신문 1면에 실린 논설 「좌표」의 한 대목이다. 그때 나는 이 글을 조심스레 썼다. 정말 이렇게 정해 버려도 괜찮을까? 아니나 다를까, 일본의 노인의료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이 표현에 반발감이나 의심을 품게 된 것 같았다. 예를 들면, 오메 게이오 병원의 오즈카 노부오 원장은 뒤에 이렇게 잡지에 썼다. "이것은 납득할 수 없는 말이다. ···무언가 잘못 알고 있든지, 아니면 어떤 조작이.. 2024. 10. 21. 사회복지정책발달론-시민권론, 사회정의론, 독점자본 이론, 사회민주주의이론 (1) 시민권론 사회복지제도의 변천을 시민권의 변화하는 측면에서 진화론적으로 설명하는 이론이다. 시민권이란 완전한 사회구성원으로서 인정되는 지위의 향유라 해된다. 과거의 인류역사로 거슬러 올라갈수록 시민권의 미분화 현상이 현저하다. 그러나 영국의 경우 18세기에서 19세기에 걸쳐 공민권이 확립되었고, 이에 19세기와 20세기 사이에는 정치권이, 그리고 사회권은 20세기 중반까지 조성되었다. 복지국가로 지칭되고 있는 현대사회는 개인의 생활수준이 그 사람의 계급적 신분이나 경제적 교섭능력과는 무관하게 다만 정치적 결정에 의해 합의된 수준으로 보장된다는 것이다. 결국 시민권론은 사회복지제도의 변천이 시민권의 분화 현상과 사회권의 확립이라는 진화적 과정에 따라 개선 및 확대된다. 시민권론에 대한 비판은 두 .. 2024. 2. 23. 사회정책발달론-책기론, 사회양심론, 산업화 이론, 테크놀로지론 개인의 욕구가 사회의 공식적인 대책으로서 사회복지로 연결되는 인과적 과정은 욕구의 불충족-개인문제-사회문제-사회정책-사회복지행정-직접적 사회복지실천(사회사업)-사회복지대상자 등의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사회정책의 형성과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이 매우 많다는 것이다. 사회정책이 왜 형성되며, 변화를 겪게 되는가를 밝히는 이론을 사회복지제도 변천론, 사회복지발달론, 사회정책발달론 등으로 표현한다. 지금부터는 사회정책발달론으로 통일하고자 한다. 1) 체제의 내부적 논리에 기반한 사회정책발달론 체제의 내부적 논리란 산업화 과정, 계급관계의 역동성, 이익집단의 활동, 정치경제구조의 특성 등이 한 국가의 체제내부에서 이루어진다는 의미로서 국가단위를 중심으로 생각하는 것을 말한.. 2024. 2. 23.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