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고령22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1. 문제 1) 문제 개념의 정의 일반적으로 문제란 "사람에게 그에 대한 해결욕구를 유발시키는 불만족스러운 상태 또는 조건"으로 정의된다. 문제는 인간의 욕구충족을 막는, 때로 욕구 불충족 그 자체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에서 문제는 일단 욕구와 연관되어 존재하며, 사회복지의 중요한 관심거리다. 문제와 욕구는 1:1의 대응관계를 지니며 사회복지를 통한 욕구충족은 문제해결과 예방으로 연결되고, 이는 다른 한편으로 인간다운 생활의 보장이라는 목표달성으로 연결된다. 2) 문제의 분류 (1) 개인문제 문제는 개인문제와 공공문제로 구분된다. 개인문제는 사람의 성격 및 타인과의 당면한 관계의 범위 안에서 발생한 문제이다. 한편 공공문제는 다음의 특성이 있는 문제를 말하며, 공공문제야말로 진정 의미있는 사회문제라고 말할.. 2024. 2. 23.
사회복지의 동기와 어의적 정의 사회복지의 동기를 전재일 등은 종교적 동기, 인도주의적 동기, 공리주의적 동기, 전문직업적 동기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고, Macarov(1978)는 종교적 동기, 전문직업적 동기, 상호부조의 동기, 정치적 동기, 경제적 동기, 이데올로기적 동기 등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1) 종교적 동기 종교적 동기는 자선적 동기의 의미로, 대부분은 종교에서 언급하는 형제애, 이웃사랑은 자선행위를 강조한다. 종교적 동기를 기독교 중심으로 살펴보면 4복음서에서 예수그리스도의 사랑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모든 인간은 서로 형제처럼 사랑하고 세상에서 거룩한 의무를 다함으로써 하나님의 은총을 입어 영생을 누릴 수 있다고 본다. 종교적 교리가 바탕이 된 형제애나 이웃사랑으로 서로 돕고 나아가서는 불우한 이웃이나.. 2024. 2. 20.
욕구 그리고 사회문제의 본질 기본적 욕구와 사회적 욕구 기본적 욕구 인간의 기본적 욕구란 욕구 중 모든 개인에게 존재하는 공통적이면서 꼭 필요한 최소한의 욕구를 의미하는 것이다. Maslow의 생리적 욕구, Benn과 Peters의 생물학적 욕구, 기본적 욕구, Miler의 본질적 욕구, Braybrooke의 일상생활욕구 등이 기본적 욕구에 해당된다. 기본욕구라는 개념을 사회복지적인 것으로 한정시킬 때 기본욕구는 모든 인간에게 있어 공통적이라는 것과 인간성의 유지에 필수적이라는 것, 그리고 기본욕구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서비스의 양과 질에서 최소한의 일정한 수준이 정해진다는 세 가지의 특성을 지닌다. 기본적 욕구라는 말 속에는 인간이면 누구나 그 수준 이하로 떨어져서 생활해서는 절대 안 된다는 일종의 규범적 선언이 내포되어 .. 2024. 2. 19.
인간의 욕구와 사회복지-Maslow욕구위계설을 중심으로 인간의 욕구  욕구(need)는 일반적 의미로 인간이 어떤 목적을 위해 좋은 것, 필요한 것, 필수적인 것이 결핍되었을 때 갖는 공통적인 것으로 '개인이 그 복지에 유해한 것으로 느껴지는 어떠한 결핍 혹은 부족'을 의미한다(Chaplin, 1968:336).인간은 스스로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길 수 없을 때 외부로부터 도움을 제공받아여 하는데, 이러한 외부의 도움을 사회적으로 체계화, 제도화한 것이 사회복지이므로 사회복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욕구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남세진.조흥식, 1995:33).  사회복지학은 인간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는 욕구의 미충족상황은 왜 발생하며, 그러한 욕구는 어떻게 중족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여러 가지 방안에 대해 관심을 갖고 욕구충족의 여러 방안 중 사회구성원의 .. 2024. 2. 13.